본문 바로가기

Dot Algo∙ DS/PS

[BOJ] 백준 17069번 파이프 옮기기 2 (Java)

     

    #17069 파이프 옮기기 2

    난이도 : 골드 5

    유형 : DP

     

    17069번: 파이프 옮기기 2

    유현이가 새 집으로 이사했다. 새 집의 크기는 N×N의 격자판으로 나타낼 수 있고, 1×1크기의 정사각형 칸으로 나누어져 있다. 각각의 칸은 (r, c)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r은 행의 번호, c는 열의

    www.acmicpc.net

    ▸ 문제

    유현이가 새 집으로 이사했다. 새 집의 크기는 N×N의 격자판으로 나타낼 수 있고, 1×1크기의 정사각형 칸으로 나누어져 있다. 각각의 칸은 (r, c)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r은 행의 번호, c는 열의 번호이고, 행과 열의 번호는 1부터 시작한다. 각각의 칸은 빈 칸이거나 벽이다.

    오늘은 집 수리를 위해서 파이프 하나를 옮기려고 한다. 파이프는 아래와 같은 형태이고, 2개의 연속된 칸을 차지하는 크기이다.

    파이프는 회전시킬 수 있으며, 아래와 같이 3가지 방향이 가능하다.

    파이프는 매우 무겁기 때문에, 유현이는 파이프를 밀어서 이동시키려고 한다. 벽에는 새로운 벽지를 발랐기 때문에, 파이프가 벽을 긁으면 안 된다. 즉, 파이프는 항상 빈 칸만 차지해야 한다.

    파이프를 밀 수 있는 방향은 총 3가지가 있으며, →, ↘, ↓ 방향이다. 파이프는 밀면서 회전시킬 수 있다. 회전은 45도만 회전시킬 수 있으며, 미는 방향은 오른쪽, 아래, 또는 오른쪽 아래 대각선 방향이어야 한다.

    파이프가 가로로 놓여진 경우에 가능한 이동 방법은 총 2가지, 세로로 놓여진 경우에는 2가지, 대각선 방향으로 놓여진 경우에는 3가지가 있다.

    아래 그림은 파이프가 놓여진 방향에 따라서 이동할 수 있는 방법을 모두 나타낸 것이고, 꼭 빈 칸이어야 하는 곳은 색으로 표시되어져 있다.

    가로
    세로
    대각선

     

    가장 처음에 파이프는 (1, 1)와 (1, 2)를 차지하고 있고, 방향은 가로이다. 파이프의 한쪽 끝을 (N, N)로 이동시키는 방법의 개수를 구해보자.

     입력

    첫째 줄에 집의 크기 N(3 ≤ N ≤ 32)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집의 상태가 주어진다. 빈 칸은 0, 벽은 1로 주어진다. (1, 1)과 (1, 2)는 항상 빈 칸이다.

     출력

    첫째 줄에 파이프의 한쪽 끝을 (N, N)으로 이동시키는 방법의 수를 출력한다. 이동시킬 수 없는 경우에는 0을 출력한다.

     

     

     

    문제 풀이

    시작점 (1,1)에서 세가지 방향으로 파이프를 움직이면서 도착점(N,N)까지 도착하는 경우의 수를 구하면 된다.

     

    📚 조건

    • 맵 크기 N x N (3<= N <= 32)
    • 파이프 시작 위치 (1,1), 도착 위치 (N,N)  → 갈 수 없을 경우 0
    • 빈칸 0, 벽 1
    • 방향 → ↘︎ ↓ 

     

    현재 위치를 (x,y)라 할 때 다음 3가지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의 수를 고려해보자. (파이프의 현재 위치는 앞 부분을 가르킨다.)

     

    1) 파이프가 현재 가로(flow = 1)일 때 다음 이동으로 갈 수 있는 방향은 가로와 대각선이다.

    dp[y][x][flow] +=dfs(x+1,y,1) + dfs(x+1,y+1,3);

     

    2) 파이프가 현재 세로(flow =2)일 때 다음 이동으로 갈 수 있는 방향은 세로, 대각선이다.

    dp[y][x][flow] += dfs(x,y+1,2)+ dfs(x+1,y+1,3);

     

    3) 파이프가 현재 대각선일 때 다음 이동으로 갈 수 있는 방향은 가로,세로, 대각선 모두 가능하다.

    dp[y][x][flow] += dfs(x+1,y,1) + dfs(x,y+1,2) + dfs(x+1,y+1,3);

     

    처음에는 Top-down 재귀탐색을 하는데 메모이제이션을 하면 답이 나오는데 시간초과가 떴다. 그래서 메모이제이션을 하니? 값이 이상하게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메모이제이션은 이미 저장되어 있는 값은 그냥 불러와서 연산을 줄여주는 용도로 사용한다. 그러니 저장된 값에 문제가 있는 것일텐데... 흠 뭘까 하다가 방향은 가로,세로,대각선 세 개인데 저장되는 공간은 하나에 몰아서 저장해주고 있었다. 그래서 2차원 배열을 3차원 배열로 바꿔줬다.

    → 같은 공간이더라도 각 방향에 따라 값이 다를테니 이미 방문을 했더라도 다른 방향으로 또 방문을 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 Top-down 풀이

    (1,1)부터 시작하여 탐색을 시직하면 된다.그리고 dp를 사용하여 해당 정점에 몇 가지 경우의 수의 파이프가 도착하는지 저장해주면 된다.

    코드를 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 (1,1)은 가로방향으로 밖에 이동이 안된다. 

    static long dfs(int x, int y, int flow) {
    		
    		if(x<1 || y<1 || x>n || y>n || map[y][x] ==1) return 0;
    		if(flow == 3 && (map[y-1][x] ==1 || map[y][x-1] ==1)) return 0;
    		
    		if(checked[y][x][flow]) return dp[y][x][flow];
    		
    		if(x==n && y== n) {
    			return 1;
    		}
    		
    		dp[y][x][flow] =0;
    		checked[y][x][flow] = true;
    		
    		if(x==1&& y==1) {
    			return dp[y][x][flow] += dfs(x+1,y,1);
    		}
    		
    	
    		// 가로 
    		if(flow==1) {
    			dp[y][x][flow] +=dfs(x+1,y,1) +
    						dfs(x+1,y+1,3);
    		}
    		// 세로 
    		else if(flow==2) {
    			dp[y][x][flow] += dfs(x,y+1,2)+
    						dfs(x+1,y+1,3);
    		}
    		// 대각선 
    		else if(flow==3) {
    			dp[y][x][flow] += dfs(x+1,y,1) +
    						dfs(x,y+1,2) +
    						dfs(x+1,y+1,3);
    		}
    		
    		return dp[y][x][flow];
    			
    		
    	}

     

     

     

    풀이 코드  

    값의 범위가 40억이 넘는 수가 있어 long으로 바꿔줬다.

    import java.io.*;
    import java.util.StringTokenizer;
    
    public class Main {
    	
    	static int n;
    	static int[][] map;
    	static long[][][] dp;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n = Integer.parseInt(br.readLine());
    		
    		map = new int[n+1][n+1];
    		dp = new long[n+1][n+1][4];
    		
    		StringTokenizer st =null;
    		for(int i=1; i<n+1; i++) {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for(int j=1; j<n+1; j++) {
    				map[i][j] = Integer.parseInt(st.nextToken());
    			}
    		}
    
    		
    		dp[1][2][1] =1;  //초기 파이프 가로방향 위치
    		for(int i=1;i<n+1;i++) {
    			for(int j=3;j<n+1;j++) {
    				if(map[i][j] ==1) continue;
    				
    				//가로
    				dp[i][j][1] = dp[i][j-1][1]+dp[i][j-1][2]; 
    				//세로
    				dp[i][j][3] = dp[i-1][j][2] + dp[i-1][j][3]; 
    				//대각선
    				if(map[i][j-1] ==0 && map[i-1][j] ==0)  {
    					dp[i][j][2] = dp[i-1][j-1][1] + dp[i-1][j-1][2] + dp[i-1][j-1][3];
    				}
    				
    					
    			}
    		}
    		System.out.println(dp[n][n][1]+dp[n][n][2]+dp[n][n][3]);
    	}
    }
    

     

     

    +

    ❍ Bottom-up 풀이

    Bottom up으로 풀이하면 다음과 같다.

    import java.io.*;
    import java.util.StringTokenizer;
    
    public class Main {
    	
    	static int n;
    	static int[][] map;
    	static long[][][] dp;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n = Integer.parseInt(br.readLine());
    		
    		map = new int[n+1][n+1];
    		dp = new long[n+1][n+1][4];
    		
    		StringTokenizer st;
    		for(int i=1; i<n+1; i++) {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for(int j=1; j<n+1; j++) {
    				map[i][j] = Integer.parseInt(st.nextToken());
    			}
    		}
    		
    		dp[1][2][1] =1;  //초기 파이프 가로방향 위치
    		for(int i=1;i<n+1;i++) {
    			for(int j=3;j<n+1;j++) {
    				if(map[i][j] ==1) continue;
    				
    				//가로
    				dp[i][j][1] = dp[i][j-1][1]+dp[i][j-1][2]; 
    				//세로
    				dp[i][j][3] = dp[i-1][j][2] + dp[i-1][j][3]; 
    				//대각선
    				if(map[i][j-1] ==0 && map[i-1][j] ==0)  {
    					dp[i][j][2] = dp[i-1][j-1][1] + dp[i-1][j-1][2] + dp[i-1][j-1][3];
    				}
    			}
    		}
    		System.out.println(dp[n][n][1]+dp[n][n][2]+dp[n][n][3]);
    	}
    }